![]() |
▲ 20년 동안 찌짐 전문점 운영 중인 이엽분 사장.(사진=이경희 기자) |
전통시장에서 20년 동안 ‘찌짐’을 구워 온 이엽분 사장. ‘찌짐’은 ‘전’의 경상도 사투리인데, 가게 이름을 ‘찌짐전문’으로 지었다. 그만큼 찌짐에 자신이 있다는 표현이다.
노릇한 전들이 가득한 진열대 앞에 서니 군침이 돌았다. 장을 보러 나온 아주머니는 이것저것 둘러보더니 장바구니에 담았다. 오늘 저녁은 와룡시장 찌짐으로 반찬을 할 것 같다.
“어지간한 찌짐은 다 하죠. 제사에 쓰는 전도 많이 하고요. 코로나 때문에 손님이 많이 줄었다가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이후 손님들이 많이 늘었다. 집안 잔치나 단체 관광 가실 때 드시려고 주문하는 경우도 많아요. 그리고 시장에 장 보러 오셨다가 출출한 속을 달래기 위해 드시러 오시는 분들도 많고요.”
아직도 코로나19 영향 때문에 시장에서 먹는 건 안 돼 포장해서 가시는 분들이 많다. 매일 아침 8시에 가게를 여는데 그때부터 찌짐을 굽기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손님들이 많이 찾는 전 종류는 고루 준비를 하고, 제수용 전처럼 미리 주문을 받아 특별히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
![]() |
▲ 맛도, 정성도 변함없이 하는 게 손님들이 좋아하시는 이유라고 장사가 잘 되는 비결을 소개했다.(사진=이경희 기자) |
“찌짐은 뭐니뭐니 해도 반죽이 중요한데, 거기에 간을 잘 조절하는 것이 비결입니다. 그리고 찌짐을 할 때는 불의 세기를 잘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고요. 오래 하다 보니 이제는 감이 생겼죠.”
오래 하다 보니 이제는 대충 눈대중만 해도 계량기만큼이나 정확하다. 이엽분 사장은 “꾸준하게 하다 보니 손님들이 좋아하시는 것 같아요. 그만큼 맛도, 정성도 변함없이 하는 게 손님들이 좋아하시는 이유 같다”며 장사가 잘 되는 비결을 소개했다.
소상공인포커스 / 이경희 기자 leegh0224@bizfocus.kr
[저작권자ⓒ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