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약차주 연착륙 유도 노력
![]() |
▲ 정부가 금융권에도 ‘고통분담’을 요구하면서 각 은행들은 취약차주를 지원하는 대책을 내놨거나 내부 검토 중이다.(이미지_freepik) |
정부가 금리 인상에 따른 서민과 소상공인 등 취약층의 부채 부담 완화를 발표한 가운데, 은행들이 금리 상승으로 대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진 ‘취약차주’를 위한 대책을 내 놓고 있다.
우리은행은 20일 저신용‧성실이자납부자의 금융비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대출원금감면 금융지원 제도를 8월 초부터 시행할 예정이라 밝혔다.
이번 대출원금감면 금융지원 제도는 신용등급 7구간 이하, 고위험 다중채무자 등 저신용차주 중 성실상환자에 대해서 기존 개인신용대출을 연장하거나 재약정시 약정금리가 6%를 초과하는 경우 6% 초과 이자금액으로 대출원금을 자동 상환해주는 방식으로 지원된다. 원금 상환에 따른 중도상환해약금도 전액 면제된다.
본 금융지원 제도는 대상자 중 신청한 고객에 대해 지원되며, 일반적인 채무탕감 방식과 달리 차주의 도덕적 해이 방지를 위해 성실이자납부자에 한해 고객이 낸 이자로 원금을 상환하는 원금상환 방식으로 운영된다. 또한 고신용자들과의 역차별을 감안해 약정계좌에 대한 추가대출 지원도 제한된다.
정부는 지난 14일 “‘금융부문 민생안정 과제 추진현황 및 계획’을 발표하면서 ”금융권도 가계 취약차주 지원을 위한 자체상품을 준비‧출시 중“이라면서 ”성실상환 신용차주에 대한 대출원금 감면이나 7% 이상 고금리 차주에 금리를 1%포인트 인하해 주는 방식을 예로 든 바 있다.
정부가 금융권에도 ‘고통분담’을 요구하면서 각 은행들은 취약차주를 지원하는 대책을 내놨거나 내부 검토 중이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말 기준 연5% 초과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하는 고객의 금리를 연 5%로 일괄 감면 조정해 1년간 지원하기로 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11일부터 7% 초과 고금리 개인사업자 대출 및 서민금융지원대출에 대해 각각 최대 1%포인트의 금리 감면을 지원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저소득 근로자 및 영세 사업자 등 제도권 금융소외계층 대상 서민금융지원 대출 상품의 신규 금리를 연 1%포인트로 인하한다.
사회적 책임 실천과 금융 취약차주의 연착륙 유도를 위한 금융권의 노력은 향후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소상공인포커스 / 김영란 기자 suputer@naver.com
[저작권자ⓒ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