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국인터넷진흥원 나주본사에 위치한 CU 무인점포(사진_CU) |
창업을 계획하고 있는 예비창업자라면 비용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시작할 때 투입되는 투자비용도 그렇지만 최소의 투자로 최대의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선 매번 들어가는 고정비용을 줄이는 것은 당연한 부분이다. 하지만 기본적인 인건비나 정해진 비용들은 쉽게 줄이기도 힘들고 어떠한 부분에서 줄여 나가야 할지 고민이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비대면의 일상화, 고물가, 고임금, 고금리 등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등장하게 된 트렌드로 ‘무인점포 창업’이 있다. 무인점포 창업은 말 그대로 사람없이 운영하는 점포창업으로, 여느 창업보다 인건비 절감이 높은 창업방법이다. 예전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운영된 형태가 있었지만 사실상 관리인원이 필요하고 한계를 가지고 있어 쇠퇴되어왔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여러 가지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무인점포 창업은 큰 변화를 맞고 있다. 빨래방, 세탁소, 코인노래방 등 널리 알려진 부분부터 스터디카페, 카페, 밀키트전문점, 렌탈스튜디오, 파티룸, 프린트카페, 애견샤워장, 옷가게, 정육점, 편의점, 소품가게 등 일반적인 창업에서 사람만 빼면 될 정도로 무인점포 창업은 다양하고 많은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다.
![]() |
▲ 무인카페(사진_나우커피) |
무인점포 창업, 핫 아이템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창업자들의 많은 관심이 모아진 분야 중 무인점포 창업에 대해 알아보고, 창업컨설팅전문가로 렛츠두잇을 운영하고 있는 김현철 대표를 통해 최근 핫한 아이템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무인 카페와 무인 편의점의 장‧단점을 비교해 예비창업자들이 놓치기 쉬운 핵심내용을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Q. 인건비 등 창업에 있어 비용이 많이 발생하면서 무인점포 창업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A. 무인 창업은 크게 무인 외식창업, 무인 서비스창업, 무인 도소매창업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그중에서 요즘 예비창업자들에게 관심이 있고 비용 면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외식과 서비스 중심의 인기 무인 창업 아이템을 예로 들어보기로 하겠다. 특정 무인 창업 브랜드의 소개나 홍보가 아니라 냉정한 창업전문가 입장에서 바라본 현실적인 분석임을 밝혀 둔다.
Q. 요즘 다니다 보면 사람이 아무도 없는 무인 카페를 쉽게 볼 수 있다. 무인 카페 창업은 어떠한가?
A. 커피 원두의 급격한 소비 증가와 카페 창업의 일반성 때문에 많은 예비창업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무인 창업아이템의 대표적인 케이스이다. 무인 카페 창업의 포인트는 커피 원두의 맛인데 기존 일반 카페 창업에서의 커피 머신과는 다른 방식으로 추출되는 방식이라 무인 카페 창업의 커피는 맛이 없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자동 커피머신 방식은 아무래도 에스프레소 머신과는 다른 선입관을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중요하다. 또한 자동 커피 머신의 사양과 특성에 따라서도 격차가 존재한다. 머신 A/S 문제는 현재의 고객서비스 차원에서는 크게 문제가 안되지만 소비자의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사람이 내려주는 커피와 기계가 내려주는 커피의 인식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 |
▲ 비트2E 잠실 롯데월드몰점 (사진_달콤커피) |
무인 카페 창업 비용은 12~15평 기준 3,500~1억 이상 정도이며, 개설 비용의 차이는 무인 커피 머신과 로봇 커피 머신의 선택 사양으로 차이가 많이 난다. 인테리어도 일반 로드숍 매장과 동일한 콘셉트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인테리어 비용 자체도 상당한 비용 발생을 요구한다.
무인 카페 창업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주변의 저가 커피 매장(빽다방, 메가커피)이 존재할 경우 무인카페 매장 창업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그 이유는 무인 카페의 장점 상 가격 경쟁력인데 주변의 저가 커피 매장은 1,500원을 넘지 않으니 무인 카페 창업 후에도 영업 활성화 부분에서 첨예하게 대립할 수 있는 이유이기 때문이다.
<무인 커피 머신의 종류와 비용> .
* 동구 전자 A1 : 2,400만 원 대
* 알리바바 머신 : 2,600만 원(쇼케이스 포함), 로봇 팔(8,500만 원 대)
* 페스트 커피 머신(기계 2대) : 대 당 160~180만 원
* 로봇 무인 커피 머신을 설치할 경우 : 9천만~1억원 (서빙 머신 별도)
* 그 외 철거비용, 간판, 외부 엑스 테리야, 난방기구, 가구 비용(일부 브랜드는 포함)은 모두 별도 비용
![]() |
▲ 무인 점포로 운영되는 투바앤 스마트 무인편의점 놀라바광화문 직영점(사진_투바앤) |
Q. 요즘 ‘편세권’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편의점이 주목받고 있다. 대기업들도 무인으로 운영되는 편의점들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는데, 무인 편의점 창업은 어떠한가?
A. 무인 편의점 매장 창업은 비대면 코로나 시대에 폭발적인 관심을 가져온 아이템 중에 하나인데 일부 편의점 대기업(CU, GS25, 이마트24, 세븐일레븐)에서는 이미 수백 개 이상의 입점으로 운영 중인 브랜드들이 있다.
하지만 신용카드 입장 시 인증 설치 시스템이나 최첨단 기술 등의 적용을 통해 일부 도난‧손실 등의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서의 IT기술 설치는 반대로 예비창업자의 개설비용 증가로 귀착되는 단점도 존재하니 꼼꼼히 따져 본 후 무인 창업 결정을 하기를 권유한다.
<선택 체크 포인트>
* 상품 재고를 적재할 만한 여유 공간 확보를 할 수 있는가?
(규모의 확장은 결국 비용의 증가를 가져온다)
* 손실이나 도난에 대한 리스크를 감당할 만한 대체 관리의 여유(사람, 시간)가 있는가?
* 주변 일반 편의점과 비교해서 어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가?
일반적인 편의점의 취약점 중의 단점은 물품에 대한 재고 및 창고 공간 확보를 필수로 하는 공간의 확보가 있다는 점도 알아두기 바라며, 오늘 판매된 상품의 적정 재고 확보는 운영하는 점주 입장에서 물품 준비금의 지출로 인해 실제 돈을 벌고 있다는 감정을 느끼기엔 다소나마 약하다는 점도 꼭 기억하시기 바란다.
무인 편의점 창업 비용은 15평 기준 4천~1억원 이상이며, 개설비용의 차이는 위에서 언급했던 상품의 도난과 손실 방지를 위한 신용카드 입장 기계 설치 등에서 차이가 난다. 대기업이 아닌 브랜드와 대기업에서 진행하는 브랜드와의 비용 격차가 있다는 점을 유념하기 바란다.
소상공인포커스 / 김영란 기자 suputer@naver.com
자문 창업컨설팅전문 렛츠두잇 김현철 대표
[저작권자ⓒ 소상공인포커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